ESG 추진 체계
ESG 의사결정체계
HK inno.N은 ESG경영 추진을 위한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먼저, 2022년 경영진 산하 ‘ESG경영위원회’와 실무진 회의체인 ‘ESG실무위원회’를 설립했으며, 2023년에는 이사회 산하 ESG회의체인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이사회 수준에서 ESG경영 전략 및 투자 검토와 리스크 관리를 수행하며, ‘ESG경영위원회’에서는 ESG 경영 주요 의사결정 및 활동 성과에 대한 관리 감독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의사결정 사항은 ESG실무위원회를 통해 실무진들에게 전달되고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ESG경영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먼저, 2022년 경영진 산하 ‘ESG경영위원회’와 실무진 회의체인 ‘ESG실무위원회’를 설립했으며, 2023년에는 이사회 산하 ESG회의체인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이사회 수준에서 ESG경영 전략 및 투자 검토와 리스크 관리를 수행하며, ‘ESG경영위원회’에서는 ESG 경영 주요 의사결정 및 활동 성과에 대한 관리 감독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의사결정 사항은 ESG실무위원회를 통해 실무진들에게 전달되고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ESG경영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요성 평가
중요성 평가 프로세스
HK inno.N은 글로벌 이니셔티브의 공시 기준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이중 중요성 평가를 시행했습니다.
글로벌 공시 표준인 GRI와 EU CSRD에서 요구하는 중요 이슈 보고 기준에 따라 중요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미디어 분석, 국제 표준, 이해관계자 설문 결과 등을 종합하여 15개 핵심 이슈를 도출하였습니다.
글로벌 공시 표준인 GRI와 EU CSRD에서 요구하는 중요 이슈 보고 기준에 따라 중요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미디어 분석, 국제 표준, 이해관계자 설문 결과 등을 종합하여 15개 핵심 이슈를 도출하였습니다.
step 01Issue Pool 구성
- 국제 표준(GRI, SASB, UN SDGs, TCFD)
- 동종 업계 BM 기업 분석
- 미디어 모니터링(Web Crawling 기법 활용)
- 전년도 지속가능성 이슈 검토 → 총 28개 Issue Pool 도출
step 02사회·환경적 영향 분석
- 미디어 모니터링 결과 분석(15,859건)
- 임직원 설문(985명)
- 이해관계자 설문(고객, 협력사, 지역사회 등 총 680명)
step 02재무적 영향 분석
- 임직원 설문(231명)
- 이해관계자 설문(주주·투자자)
- 관련 정책·법령 분석
- 평가기관 지표 분석
step 03중요 이슈 선정 및 공시
- 사회·환경적 영향 및 재무적 영향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우선순위 선정
- 우선순위 선정 결과에 대한 경영진 및 이사회 검토 시행, 15개 중요 이슈 선정
- 2022년 지속가능성경영 보고서를 통해 중요 이슈 공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