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급성 심근경색 환자 대상 케이캡 연구결과 발표
HK이노엔, 급성 심근경색 환자 대상
케이캡 연구결과 발표
-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이중항혈소판요법 병용 심혈관 환자 대상 안전성 및 유효성 입증
- P-CAB계열 케이캡, PPI 대비 출혈위험
감소...새로운 위장관 보호 가능성 확인
사진. 용인세브란스 병원 심장내과 이오현 교수가 유럽심장학회에서 케이캡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HK이노엔(HK inno.N)은 10일 심혈관 환자 치료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과 PPI계열간
안전성을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 세브란스병원 연구팀(교신저자: 심장내과 김용철 교수, 제1저자: 심장내과 이오현
교수)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CI)후
이중항혈소판요법(DAPT)으로 치료받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중항혈소판요법(DAPT)은 심혈관질환 환자에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CI) 후
허혈성 사건을 줄이는 치료법이지만, 위장관 출혈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장관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PPI계열 약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항혈소판제와의
약물 상호작용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연구팀은 △빠른 약효 발현 △긴 지속시간 △낮은
약물 상호작용 등의 특성을 가진 P-CAB계열의 케이캡에 주목하고,
PPI계열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국 단위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내에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급성 심근경색(AMI) 환자 중 이중항혈소판요법(DAPT)과 함께 PPI계열 약물(19,201명) 또는
테고프라잔(2,075명)을 복용한 환자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은 두 환자군의
기저 특성을 통계적으로 보정한 뒤, 주요 평가 지표로 1년
내 위장관 출혈과 심근경색∙뇌졸중을 포함한 주요 심뇌혈관 사건(MACCE)을 설정했다.
연구결과, 케이캡 복용군은 1년 내 위장관 출혈 위험이 PPI 복용군 대비 약 28%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주요 심뇌혈관 사건 위험은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용인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용철 교수는 "이중항혈소판요법(DAPT)
치료를 받는 동아시아 심근경색 환자에서 케이캡이 기존 PPI 대비 효과적이고 안전한 위장보호약물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용인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이오현 교수는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심혈관질환 환자가 늘고, 이에 따라 사망률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시술 후 이중항혈소판요법(DAPT)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장관 출혈 관리가 중요한데, 이번
연구 결과는 케이캡이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HK이노엔 관계자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케이캡이 심혈관 환자 치료 환경에서도 차별화된 임상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달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ESC 2025)에서 포스터로 발표됐다. (끝)
(참고)
연구 제목: Safety and Efficacy of Tegoprazan in Patients Treated with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Drug Eluting Stent Implantation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CAB (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HK이노엔 케이캡(테고프라잔))
- 위산에 의해 활성화될 필요없이 직접 프로톤펌프의 칼륨 이온과 경쟁적으로 결합. 즉 칼륨 이온과 프로톤펌프의 결합을 방해하여 위산이 분비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리.
- 따라서 식사와 무관하게 투약 가능하고, 투여
첫날부터 빠르고 강력한 위산분비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약효도 PPI 대비
오래 지속돼 야간 위산분비 억제 우수.
PPI (Proton Pump
Inhibitor, 프로톤 펌프 저해제/란소프라졸 등)
- 위산 분비의 최종 단계에 관여하는 위 내 프로톤 펌프
(Hydrogen/Potassium Adenosine Triphosphatase ; H+/K+-ATPase; Proton pump)를
비가역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위산 분비를 차단.
- PPI는 전구물질(prodrug)로, 위산에 의해 활성화된 후 프로톤 펌프와 결합해 위산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에 식사 전에 투약해야 하고 반복 투여
시(3~5일)에 최대 효과에 도달함.
연구내용 중 PPI계열 종류
: 판토프라졸, 란소프라졸, 라베프라졸, 에스오메프라졸, 덱스란소프라졸, 오메프라졸, 일라프라졸
PCI :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DAPT: 이중항혈소판요법, Dual Antiplatelet
Therapy
MACCE: 주요 심뇌혈관 사건, Major Adverse
Cardiac and Cerebrovascular Events
AMI: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